사회적경제7 사회적경제 창업을 꿈꾼다면? 용인시사회적경제 창업아카데미 기초과정 추천! 용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창업아카데미 기초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매년 교육이 있고, 신청하면 서류 검토 후 합격된 사람에 한해 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2021년 11월 과정의 경우에는 총 5차례, 각 3시간씩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총 15시간을 들어야 하고 80% 이상 참석 시 수료하게 됩니다. 저도 사회적기업 창업에 관심이 있어서 듣고 있는 중입니다. 수업 내용이 상당히 좋고 재밌습니다. 다만 오후 6시부터 시작이니까 직장에 다니면서 창업을 해볼까? 하는 분들은 참석이 좀 어려울 수 있겠죠. 기초과정의 경우 모집하는 차시마다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혹시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용인시사회적경제센터 홈페이지를 정기적으로 들여다보시기 바랍니다. 내년도 아카데미는 수업시간이 변경될 수도 있어요~.. 2021. 11. 25. 소셜벤처 / 소셜임팩트 / 소셜 디자인씽킹 (용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진행된 기자단 교육 후기) 용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기자단을 위한 교육이 있었습니다. 주제는 소셜벤처, 소셜임팩트, 소셜 디자인씽킹에 대한 것으로 강사로는 '함께일하는재단'의 이원태 실장님이 와주셨어요. 함께일하는재단은 “양질의 일자리를 통해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여 행복한 사회를 만든다”는 미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생계유지뿐만 아니라 사람의 존엄과 가치가 존중되는 일자리를 통해 사회의 양극화를 해소하는 것, 그로 인해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오늘 강의의 키워드인 소셜벤처(Social Venture), 소셜임팩트(Social Impact), 소셜 디자인씽킹(Social Design Thinking)은 단어 자체는 평소에 들어본 것들이었어요. 하지만 앞에 '소셜'이라는 말이 붙는다는 건 뭔가 뜻이.. 2021. 11. 25. 1년에 한 번 마을 전체를 영화관으로 만드는 용인의 문화예술 협동조합 '꿈지락' 용인에 있는 문화예술 플랫폼 에 다녀왔다. 동천동, 고기동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용인시 협동조합 형태의 기업이다. 사무실은 동천동에 있고, 이 공간을 중심으로 여러 사업을 진행 중이다. 꿈지락은 '문화예술을 통해 마을을 행복하게 만들자'라는 생각으로 2017년도에 만들어졌다. 협동조합으로서 현재는 8명이 함께 운영 중이다. 꿈지락은 여러 사업을 동시에 진행한다. 그중 첫번째를 소개하면 '강좌'이다. 내가 방문한 동천동 사무실의 한쪽 공간에서 진행된다고 한다. 꿈지락의 강좌는 다른 곳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강사와 수강생이 수동적인 관계를 형성한다면, 이곳에서는 동아리가 중심이 되어 동아리에서 필요한 강사를 직접 초빙한다. 동아리의 모임과 생성은 꿈지락의 주도로 이루어진다. 위 사진은 꿈지락의 대표적인.. 2021. 10. 25. 사회적기업을 만들고 싶다면? '소셜미션'을 확실하게! 용인시 예비사회적기업 <다그리다> 송헌정 대표 인터뷰 요즘 용인에는 'PET2TEE' 프로젝트가 한창입니다. 페트병을 티셔츠로! 버려지는 쓰레기를 새로운 자원으로 바꾸자는 자원 순환 운동의 일환입니다. 2021년 10월 1일부터 시작해 다음 달인 11월 30일까지 이어질 예정이에요. 아이디어는 용인의 '쓰레기제로 마을실험실'에 참여 중인 시민들이 냈습니다. 투명페트병을 가져오는 사람에게는 페트병 15개당 '봉사시간 1시간', '쓰레기봉투 증정'과 같은 다양한 혜택을 주고요. 모은 투명페트병은 티셔츠로 만들어져서 용인시청 직장운동경기부가 훈련 때 입을 수 있게 전달될 계획입니다. 이런 참신한 아이디어를 내고 기획한 분은 누구일까요? 상현1동의 주민자치기획단 대표이자 용인시 예비사회적기업인 의 대표이기도 한 송헌정 님입니다. 지역 사회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 2021. 10. 25. 용인 사회적경제 창업아카데미 최우수. 다문화가정 한국어 교육기업 더하기한국어키움교실 소개 용인시는 사회적경제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사회적기업 육성 프로그램이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더하기한국어키움교실》은 2019년도 용인 사회적경제 창업아카데미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기업이에요. 이 회사가 하는 일은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한국어를 가르주는 것입니다.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면 학교에서 학업 부진을 겪을 수 있고, 가족끼리의 대화가 단절될 수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생기죠. 이 점을 개선하고 싶다는 생각에 《더하기한국어키움교실》 김미경 대표님은 창업을 결심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적경제에 관심이 많은 편이라 회사에 대해 더 알고 싶은 마음이 생겼어요. 그래서 대표님을 직접 찾아가 궁금한 점을 여쭤보았습니다. Q.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2021. 7. 28. 전통공연 행사기획을 하는 용인 사회적기업, 《케이아트팩토리》의 청년 멤버들을 만나보았다.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전통공연이다. 어릴 땐 어려서 그런가 보다 했다. 시간이 지나도 마찬가지인 걸 보면 문화적 갬성이 그냥 부족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해외 나가면 애국심이랍시고 태권도, 사물놀이 같은 걸 외국인에게 자랑삼아 소개하곤 했다. 얕은 지식으로 인해 설명은 길어야 1분이지만. (ㅠㅠ) ‘담엔 공부 좀 해야지’ 하는 생각은 매번 하는데 실천은 안 하지 뭐. 지하 암반수처럼 맑고 투명한 내 문화적 소양. 최근에 이걸 깨워준 팀을 만났다. 이름은 《케이아트팩토리》로, 전통공연 행사를 기획하는 팀이다. 용인의 사회적기업이기도 하다. 평소에 사회적기업에 관심이 많아서, 궁금했던 걸 알 기회였다. (직접 만나 인터뷰를 할 수 있었다. 아래는 그 문답을 정리한 것) 청년 .. 2021. 6. 2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