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서포터즈5 반려인 1,200만 시대! 반려동물 양육비용 부담 줄이기 위한 정부 정책은?! 우리나라 반려동물 보호자는 그동안 꾸준히 증가해 1,000만 명이 넘게 되었습니다. kb경영연구소의 ‘2023 한국 반려동물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으로 1,262만 명의 반려인이 있다고 하는군요. 2020년과 비교했을 때는 20만 명 줄어든 수치이지만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통계에서 재밌는 점은 반려인구는 줄었지만 반려가구 수는 오히려 늘어났다는 것인데요. kb경영연구소는 1인 가구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그 원인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다시 설명하면, 예전에는 3~4인으로 된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돌보았다면, 지금은 1인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케어하는 경우가 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1][2]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1.. 2023. 12. 13. 유실/유기동물 입양 방법과 입양 지원금, 반려동물 무료 교육 알아보기 유실/유기동물 관련 통계 사람의 부주의로 인해 유실되거나 의도를 가지고 버린 동물의 수는 매년 10만 마리가 넘습니다. 2021년부터는 그 증가세가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많은 건 사실입니다.[1][2] 동물등록제가 2014년부터 시행되면서 유기동물 수가 줄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한 적이 있었는데요. 실제로는 기대만큼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 같지는 않네요. 유실/유기된 동물은 보호소로 들어옵니다. 보호소에서는 최소 열흘간 해당 동물을 보호하면서 원래 보호자를 찾기 위한 공고를 냅니다. 공고기간이 끝나면 새 주인에게 입양을 보내거나 안락사를 시키기도 합니다. 보호소에는 늘 새로운 유기동물이 들어와서 포화 상태입니다. 공고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죠. 보호소에 있는 동물 중 40%는 보호자를 찾지 못하고.. 2023. 11. 29. 믹스견의 종류(시고르자브종 & 디자이너 도그)와 입양 방법, 믹스견 인식 개선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믹스견에 관한 글입니다. 믹스견이 무엇이고 품종견과는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려고 해요. 또, 일부 사람들은 믹스견을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기도 하는데요. 편견과 선입견 없이 믹스견을 대하려면 어떤 인식 개선이 필요한지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믹스견이 뭘까요?? 먼저, 어떤 개를 믹스견이라 부를까요? 믹스견이란 서로 다른 견종 사이에서 태어난 강아지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푸들과 말티즈가 교배했다거나, 포메라니안과 스피츠가 교배하여 낳은 새끼를 믹스견이라 할 수 있어요. 또는 품종을 정확히 알 수 없는 두 마리의 개가 새끼를 낳아도 믹스견이 됩니다. 동일한 순종 간의 교배가 아니면 다 믹스견이 되는 거죠. 여기서 믹스견은 특정 기준을 가지고 나눌 수 있고, 이에 따라 믹스견을 부.. 2023. 11. 14. 국가전략산업으로 부상한 펫테크! 사람과 반려동물 모두가 만족 펫테크(Pet-tech)란? ‘펫테크(Pet-tech)’는 반려동물(pet)과 기술(tech)의 합성어입니다. IT 기술을 활용해 내 사랑스런 반려동물을 보다 안전하게 지키고, 편리하게 보살필 수 있게 만드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기존에 아날로그적으로 하던 펫케어에 첨단 ICT 기술인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접목시킨 거라 볼 수 있어요. 초기 펫테크 제품으로 어떤 게 있나 생각해보면 저는 펫 CCTV 정도가 떠오릅니다. 집에 혼자 남겨진 반려동물을 관찰한다는 단순한 목적에서 시작한 것인데요. 이후에는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CCTV, 분리 불안이 있는 강아지를 위한 음성 지원이 추가된 CCTV까지 반려인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는 제품으로 발전되는 중입니다.. 2023. 10. 18. 10월 1일부터 반려동물 진료비 부담이 줄어들어요! 동물병원 부가세 면제 범위 확대 반려동물이 가장 많이 진료받는 100여개 항목 부가세 면제! 최근 KB금융그룹에서 발표한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우리나라 반려인과 반려동물에 관한 다양한 통계가 실렸습니다.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리면 우선, 반려가구 수가 계속 늘면서 2022년 말 기준 반려동물을 키우는 양육가구가 550만을 넘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동네를 걷다 보면 하루에도 몇 번이나 산책하는 강아지를 쉽게 만날 수 있죠.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23, KB경영연구소)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양육과 관련한 질문에서 대부분 ‘반려동물 건강’을 가장 걱정한다고 대답(55%)했습니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의 `2022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발표`에서도 반려동물 1마리 당 양육 비용이 한 달 평균 약 15만 원으로 나왔는.. 2023. 9. 14. 이전 1 다음